1. 보쌈의 기원, 역사적인 배경 알아보기
보쌈은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 음식으로, 특히 김장철에 즐겨 먹던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김장은 한국에서 겨울철에 김치를 담근 행사로, 보쌈은 이 행사와 관련된 음식입니다. 김장 후에는 다 같이 고기를 삶아 보쌈김치와 함께 먹으며, 겨울 동안 먹을 김치를 저장하는 의식이자 축제의 일부로 여겨졌습니다. 이 풍습은 공동체 생활의 일부분이었으며, 함께 나누는 음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보쌈은 단순한 요리를 넘어서 가족과 이웃 간의 화합과 나눔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김장을 마친 후 이웃과 나눠 먹던 보쌈은 공동체 생활의 일부분이었으며, 함께 나누는 음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처럼 보쌈은 한국 전통 음식 문화에서 공동체 정신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보쌈을 먹는 행위는 가족과 이웃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날, 보쌈은 여전히 특별한 날이나 행사에서 자주 먹는 음식으로 남아 있습니다. 김장철에 먹는 보쌈의 전통은 오늘날에도 이어져 오고 있으며, 생일, 명절, 혹은 가족 행사의 상차림에도 보쌈이 자주 등장합니다
보쌈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보쌈김치와 돼지고기를 함께 내는 메뉴가 대표적이며, 굴보쌈, 홍어보쌈 등 다양한 곁들임 메뉴가 추가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는 보쌈의 풍부한 맛과 문화적 의미를 더해줍니다.
보쌈의 역사적 유래
1. 보쌈의 이름
보쌈이라는 이름은 보자기(포대기)를 의미하는 한자어 '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보쌈김치를 이르는 말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돼지고기와 김치를 함께 내는 메뉴를 뜻하는 말이 됐습니다.
2. 보쌈의 전통
보쌈은 개성지방에서 시작된 음식으로, 다양한 채소와 해산물, 과일 등을 양념해 부드러운 배춧잎에 싸서 먹는 방식입니다. 이는 고급 김치로 여겨졌으며, 궁중음식의 범주에 들기도 했습니다.
3. 결론
보쌈은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 김장철과 관련된 음식으로 시작되었으며, 가족과 이웃 간의 화합과 나눔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보쌈은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2. 보쌈 재료 준비 (3인분)
1. 재료 준비
돼지고기 앞다리(1kg)(수육용 삼겹살도 가능) , 물(25컵) 5000cc, 무 1/4개, 양파 1/2, 대파 2 뿌리, 마늘 15알, 생강 10조각, 통후추 30알 정도, 감초 5개, 월계수잎 5장, 된장 2큰술, 굵은소금 2큰술, 소주 100cc, 찬물 적당량, 굵은소금 3큰술
2. 만드는 방법
1. 개인적으로 수육 하면 앞다리 사태살이 좋아합니다. 수육거리가 많은데 삼겹살수육을 많이 쓰고 있는데 물론 삼겹살 맛있긴 합니다. 적당한 비계가 있어서 삼겹으로 준비했습니다.
2. 보쌈 삶는 레시피는 보통 하시는 것과 비슷한데 조리방법에서 포인트가 있습니다.
그 포인트를 잘 캐치하시면 맛있는 수육을 집에서 즐기실 수 있답니다.
고기 손질하기
먼저 준비한 수육용 고기를 미지근한 물이 아닌 따뜻한 물에 씻은 다음
따뜻한 물에 10분간 담가 핏물을 빼 줍니다.
이 과정을 거쳐야 돼지고기의 잡내를 많이 잡아 준다고 합니다.
일식에서도 고기와 생선을 뜨거운 물이 기름을 끼얹어서 느끼함과 잡내를 잡는다고 합니다.
레시피보다는 조리방법이 확실히 맛을 좌우하는 것 같습니다.
3. 보쌈 황금레시피에서는 간을 할 때 된장 2큰술 굵은소금 2큰술 넣습니다.
된장 2큰술 새우젓 1큰술 넣어 삶습니다.
새우젓이랑 돼지고기랑 음식궁합이 잘 맞는다고 합니다.
새우젓을 넣으면 소금 역할도 하면서 돼지고기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될 때소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해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쌈 먹을 새우젓 공식이 된 것 같습니다.
4. 분량의 재료와 물을 넣고 센 물에 끓여 줍니다. 끓기 시작하면 따뜻한 물에 잠시 담가 둔 고기를 넣고 소주 반컵정도 넣어 주고 센 불에서 5분 정도 삶습니다.
5. 5분 후 중불로 60분 정도 삶습니다.
6. 고기가 잠길 정도의 찬물에 굵은소금 2큰술 넣고 잘 저어서 소금을 녹인 다음 삶은 고기를 넣어 씻어 줍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 육즙이 빠지지 않고 남은 기름기를 제거하고 고기의 특유의 느끼함을 잡아 줍니다.
속은 촉촉한 보쌈맛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보통 삶아서 먹는 방식의 보쌈보다는
잡내도 덜하고 촉촉한 수육의 맛을 즐기실 수 있다고 합니다.
3. 보쌈 황금레시피 고기 삶는 법도 올려 보았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해 보았습니다.
재료 (보쌈 삶는 법 황금레시피)
앞다리 사태살 1kg, 물 25컵(5,000CC), 무 1/4개, 양파 1/2개, 대파 2 뿌리,
마늘 15알, 생강 10조각, 통후추 30알, 감초 5개, 월계수 잎 5장, 된장 2큰술,
굵은소금 2큰술 , 소주 반 컵(100CC)
마지막 삶은 고기 찬물에 헹구기 : 찬물 + 굵은소금 3큰술
저는 약식을 했습니다 없는 재료는 빼고 있는 재료만요..
삼겹수육용 800g 물 4리터 무 1/5개 양파 1/2개 대파 1 뿌리 마늘 5알 통생강 2개 된장 2큰술
새우젓 1큰술 소주 반컵
마지막 찬물에 고기 헹구기 : 찬물 + 굵은소금 2큰술
보쌈하면 삼겹살 목살 많이 이용하시는데요
앞다리 사태살이 가격도 괜찮고 비계도 적당해서 수육으로 좋답니다.
3. 보쌈과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김치 소개
보쌈과 함께 먹을 수 있는 다양한 김치 종류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쌈은 각종 과실과 육류·어류·양념 등을 배춧잎에 싸서 담근 김치로, 맛의 유출이 적은 편입니다. 따라서 보쌈과 함께 먹을 수 있는 김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쌈김치
재료: 배추, 무, 파, 마늘, 생강, 미나리, 고추 등. 이 밖에 밤이나 배 등 과실류, 낙지와 버섯 등이 기본 재료로 첨가됩니다. 특히, 고춧가루보다 실고추를 많이 사용하고, 첨가되는 부재료가 35종에 이르며, 천연 재료를 많이 사용하여 고급 식품으로 평가됩니다.
2. 통배추 김치
재료: 배추, 무, 파, 생강, 고춧가루, 젓갈 (새우젓과 멸치젓을 사용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조기젓과 황석어젓을 넣습니다). 남쪽 지방에서는 멸치젓을 많이 사용합니다. 겨울 동안 먹는 김치는 소금을 적당히 넣지만, 오래 저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먹을 김치는 식염을 다소 많이 넣어 산패를 억제합니다.
3. 깍두기
재료: 주재료는 무이며, 여기에 고추, 마늘, 생강, 파, 소금, 새우젓이 기본적으로 첨가됩니다. 이 밖에 갓, 배추, 굴, 실고추, 멸치젓, 청각, 낙지, 배, 곤쟁이젓, 실백, 밀가루 등을 넣기도 합니다. 지역에 따라 대구와 명태의 아가미를 섞기도 합니다.
4. 동치미
재료: 적당한 농도의 소금물에 무를 넣고 약간의 부재료를 첨가합니다. 완성된 동치미는 독에 넣어 땅에 묻어서 발효시킨 후, 유기산과 탄산, 소금의 간이 조화를 이루어 차가운 감칠맛이 난답니다. 동치미는 조미료가 많이 들어가지 않고 물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맛이 담백합니다.
5. 햇배추김치
재료: 봄철에 햇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담그면 맛과 영양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식욕을 증진시킵니다. 햇배추에 파, 마늘, 생강, 실고추, 미나리, 소금, 밀가루 등을 넣어 담그며, 무나 열무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6. 열무김치
재료: 여름철을 대표하는 김치로, 여름철은 기온이 높기 때문에 젓갈류 등 동물성 재료를 첨가하지 않습니다. 재료 또한 간단합니다. 밀가루, 밥, 설탕, 뜨물 같은 당질(糖質)이 들어 있는 식품을 끓여서 냉각시킨 후, 여기에 마늘, 생강, 고추, 소금 등을 넣어 담근답니다. 비교적 맛이 담백합니다. 당질이 들어 있는 재료는 김치의 숙성을 촉진시키며 젖산 발효를 증진시킵니다.
7. 오이소박이
재료: 여름철에 열무김치 다음으로 섭취량이 많습니다. 파, 마늘, 고추, 생강 등의 재료에 젓갈을 첨가하지 않아 맛이 담백합니다.
8. 나박김치
재료: 열무 대신 무를 얇게 썰어서 담근 김치입니다. 열무김치와 차이점은 밀가루 대신 설탕을 첨가하고, 고춧가루 대신 통고추를 사용합니다.
보쌈과 함께 먹을 수 있는 다양한 김치 종류는 각 지역의 특색과 재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맛과 영양을 다 맛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