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지 발달 심리학자 허버트 사이먼 (Herbert Simon) 인공지능과 인간 사고

by 산물가 2025. 3. 21.

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은 인간의 사고 과정과 인공지능(AI)의 가능성을 탐구한 인지과학자이자 심리학자며 노벨상을 수상한 경제학자로 유명하다.

그 학자는 인간의 사고 과정이 합리적이면서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는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현대 인공지능 연구와 의사결정 이론의 근간이 되었다.

사이먼은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하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인간 인지와 인공지능 간의 상호관계를 최초로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본 글에서는 허버트 사이먼의 생애와 연구 업적돠 그의 인간 사고 과정 연구와 인공지능 개발에서의 공헌을 하고  현대 사회에서의 응용 사례에 대해 써 보겠습니다.

1. 허버트 사이먼의 생애와 인공지능 연구의 시작 배경

허버트 사이먼(Herbert Alexander Simon, 1916~2001)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인지 심리학자로서, 1978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세계적인 석학사이다.

심리학, 인공지능(AI), 경제학, 경영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융합적 학문의 개척자로 평가받고 있다.

사이먼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이 완벽하게 합리적일 수 없다는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개념을 최초로 제안하였며 인간의 인지적 한계와 사고 과정에 대한 혁신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특히나 인간의 사고가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인공지능 연구의 토대를 닦았다.

사이먼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연구하며 컴퓨터 과학자인 앨런 뉴얼(Allen Newell)과 함께 최초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중 하나인 ‘논리 이론가(Logic Theorist)’를 개발했다.

그것을 통해 인간이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사고 과정과 논리적 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인간 사고 연구와 인공지능 연구의 획기적인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인간의 사고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했다.

2. 사이먼의 핵심 이론: 제한된 합리성과 인간 사고의 이해

허버트 사이먼이 인공지능 연구와 인지과학 분야에서 제시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바로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이다.

이 개념은 인간이 의사결정이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완벽히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없고 인지 능력의 한계로 인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에서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이먼에 따르면 인간은 모든 가능한 정보를 처리할 수 없으며 시간과 자원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완벽한 최적해가 아닌 적당히 만족스러운 해결책(Satisficing)을 찾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만족화 전략은 인간 인지의 본질적 특성을 드러내는 인간의 실제 행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사이먼은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이 단계별로 이루어진다고 제안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인간 사고의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그 학자는 인간의 문제 해결 과정이 정보 탐색, 분석, 결정의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간과 유사한 인지적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연구는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사고 과정과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을 연결한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자리 잡았다.

3. 허버트 사이먼의 인공지능 연구가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허버트 사이먼의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실질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분야에서 그 영향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첫째,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에서 인간의 사고 과정과 문제 해결 방식을 적용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현대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나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 등은 사이먼의 제한된 합리성 개념과 만족화 원리를 반영하였고 사용자의 한정된 정보처리 능력과 인지적 특성을 고려해 설계되고 있다.

둘째, 심리학과 행동경제학 분야에서도 사이먼의 제한된 합리성 이론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다. 인간이 언제나 완벽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며, 정보 부족이나 인지 부하 속에서 적당히 만족할 만한 결정을 내린다는 이론은 오늘날 마케팅 전략이나 경제학적 분석에서 중요한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사이먼의 연구는 교육 심리학과 인지과학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학습자들이 과도한 정보 속에서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학습 설계 전략에도 이론이 실질적으로 적용된다.

4. 허버트 사이먼 연구에 대한 개인적 소감과 중요성

개인적으로 허버트 사이먼의 연구는 인간의 사고 과정과 의사결정의 본질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 준 소중한 이론이라 생각한다.

특히나 인간 인지의 한계와 실제적 행동 패턴을 잘 설명하는 제한된 합리성의 개념은 인간을 더욱 현실적이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인간과 컴퓨터가 공유하는 사고의 유사성을 강조한 그의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공지능 연구와 인간의 인지 연구가 더욱 융합되고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